ESTJ 특징
우리나라에서 ISTJ 다음으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약 15% 정도의 비율)
엄격한 관리자, 사업가 체질이라 불리는 유형이다.
질서를 중요하게 여기는 대표적인 성격이다.
사회에서 조직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생산적인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하며, 비효율적인 일을 싫어한다.
현실적이며 기계, 행정 등의 업무에 재능을 보인다.
미래보다는 현실에 중점을 두며 자기관리에 철저하다.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면이 있어 일을 철저히 계획하여 처리한다.
목표를 계획시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세운다.
객관적이며 논리적인 것을 좋아하는 성격이다.
미래보다는 현재 사실에 더 관심을 크게 둔다.
호불호가 확실하며 자기관리에 철저한 성격이다.
ESTJ 장점
추상적인 것보다 현실적인 현재 사실에 더 중점을 둔다.
윤리적인 의무에 따라 일을 계획하고 실천, 수행한다.
올바르게 일을 유지하고자 하는 정직한 성격이다.
외향적이고 직설적인 성격이며, 진취적이고 현실적이다.
도전정신이 강하고, 외로움을 별로 타지 않는다.
규칙을 중요시하여 행동하고 일을 처리한다.
상황 판단을 잘하고 일을 실행하는데에 추진력이 뛰어나다.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어 현실적으로 많이 도전한다.
규칙을 중시하고 행동하여 일을 끝까지 완수하는 책임감을 가진다.
신뢰가 있고 정직한 정보, 사실을 원한다.
목표에 따른 해당하는 그룹을 만들고 사람을 잘 모은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경영자적 재질의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행동하며, 조직을 구체화해나갈 수 있는 지도력을 가진다.
겉으로는 차가워보일 수 있으나, 주변인들에게 의리와 배려를 보여준다.
공장하고 객관적인 성격으로 일을 분배하고 처리한다.
ESTJ 단점
현재 사실에 관심이 많아 미래 가능성을 넓게 보지 못한다.
전통적인 것을 고수하는 편이고 융통성이 없는 편이다.
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변화, 시도를 안 좋아하는 편이다.
계획을 철저하게 세우는 편이라 틀어지는 것을 싫어한다.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면이 부족해 타인의 감정을 잘 고려하지 못한다.
목표 지향적이지만, 독창력은 부족한 편이다.
의견이 입증되기 전까지는 신뢰하지 않는다.
호불호가 강하며 나에게 집중을 잘 하는 편이다.
고집이 있어 공감력이 부족한 면모를 보인다.
가만히 있는 성격이 아니라 깊은 휴식을 취하지 못한다.
확실하지 않은 걸 싫어하여 타인의 주장을 잘 수용하지 않는다.
ESTJ 연애유형
충동적인 데이트는 거의 하지 않고 철저히 계획하는 편이다.
헌신적이고 책임감이 뛰어나며, 완벽함을 추구한다.
직설적인 성격이라 느끼는 감정을 상대에게 이야기 잘 한다.
연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걸 어려워한다.
상대방을 잘 챙겨주고 배려심이 깊다.
인내심과 참을성이 있어 잘 싸우지 않는 편이다.
댓글